티스토리 뷰

1. 클라우드는 온프레미스와 비교해서 얼마나 비싼가?

1.1클라우드 비용 산정

클라우드는 얼마나 비쌀까? 일반적인 개발용 pc의 경우 최소 6core(i5) 16gb메모리를 쓴다. 그럼, 비슷한 사양의 클라우드 인스턴스는 비용이 어떻게 나올까?

aws t2.xlarge 가격. aws의 경우 4core 16gb의 인스턴스의 경우 시간당 0.188 달러를 받는다. 한달 예상비용은 135.36달러(16만1천원). 연간 예상비용은 193만 2천원이다.

gcp e2-highmem 가격. gcp의 4core 32gb 인스턴스의 경우 시간 당 0.21 달러를 받는다. 월간 예상 비용은 149.74달러(17만8천원). 연간 예상비용은 213만 6천원이다.


4core로 설정을 했는데도 연간 최소 200만원 안팎으로 들어간다. i5 12세대 cpu가 35만원, ddr4 16gb 메모리가 10만원선인 것을 감안 할 때, 비싸도 너무 비싸다.

물론 서버용 하드웨어와 pc용 하드웨어는 다르다. 하지만, 프로덕션 서버가 아닌 빌드, 테스트용 개발서버라면 굳이 저 비용을 들여가면서 클라우드를 쓸 필요가 있을까?

1.2 결론: 개발용 서버라면 그냥 홈서버를 구축하자.

4core 32gb에다가 ssd hdd 20tb 정도 해도 200만원이 안든다. 심지어 한번 사면 최소 8년은 쓸 수 있다.

2.홈서버 비교

2.1 PC 홈서버

홈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생각이 든건 pc였다. i5 8세대, 32gb메모리, hdd 8tb정도 해도 70만원 선에서 해결이 가능하다.

하지만..?? 앞에서 말했듯이 서버용과 pc용은 메인보드부터 cpu 메모리 hdd등 모두 다르다. 서버는 24시간을 가동한다는 가정하에 안정성을 중시한 하드웨어로 구성된다. 물론 pc용보다 훨씬 비싸다. 또한, pc용은 24시간 돌리면 파워도 불안정하다. 언제 파워가 터져서 집에 불이 날지 모른다. 그래서 좀 더 안정적인 nas를 알아보려고 했다.


2.2 NAS 홈서버

실제로 주변의 많은 개발자들이 시놀로지 NAS로 홈서버를 구축한다. 시놀로지 os의 kernel은 linux kernel이라서 도커로 많이들 서버를 운영한다고 한다.

하지만, 나는 NAS를 선택하지 않았다. NAS는 원격저장소의 기능이 강해서 보통 2코어 cpu 4gb 메모리로 구성된 경우가 많았다. 하드웨어 성능이 컨테이너 몇개 돌리기에 매우 버거운 것이다.

2.3 마이크로 서버

hpe micro server gen 10 plus. 4core xeon cpu, 32gb ecc memory, 1tb ssd×1, 4tb hdd×3으로 구성을 했다.

hpe micro server gen 10 plus의 경우 t2-xlarge 또는 e2-highmem4 정도의 하드웨어 스펙을 가지고 있고 cpu, memory, ssd, hdd 등 모두 서버용으로 세팅할 수 있다. 총 비용도 150만원 이내이다. 저장 공간도 ssd 1tb hdd 12tb로 세팅해서 매우 넉넉하게 쓸 수 있다. 물론 전기, 인터넷, 공유기까지 감안한다면 비용이 더 나올 것이다. 그래도 1년을 200만원을 주고 써도 아무것도 남지 않는 클라우드 서버보다는 낫다는 생각이 든다.

이 서버에 jenkins, gitlab, harbor 등을 세팅하면 팀원들과 협업 할 수 있는 프라이빗 개발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 또, 남는 자원으로 테스트 서버까지도 돌려볼 수 있을 것이다. 활용도는 무궁무진하다. 다만 세팅이 힘들 뿐이다.. 그래도 세팅 과정이 재미있고, 구축하면 몇년을 쓸 수 있으니 한번 도전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DevOps > 홈서버 팔아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홈서버 구축기] 2장 하드웨어  (0) 2021.12.30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